동아신춘문예

마당 깊은 집

by  강대선

  • 작품전문
  • 심사평
  • 당선소감
  • 바랭이 강아지풀 숨죽이는 저물녘에


    장독대 틈 사이로 구렁이 지나간다


    고요는 툇마루에서 먼지로 층을 쌓는다


    우체통은 주인 없는 고지서를 받아놓고


    별들은 감나무 가지에 오종종 앉아 있다


    처마는 구부러지고 기와 물결 끊어진다


    바람이 들락거리는 양주댁 방안으로


    손주들 웃는 모습 흙벽에 즐비한데


    흩어진 근황을 묻는 달빛만 수심 깊다
    강대선

    강대선

    1971년 전남 나주 출생

    전남대 불어불문학과·조선대 국어교육과 졸업

    광주여상고 교사

  • 이우걸·이근배 시조시인

    현대시조의 두 가지 요소는 서정성과 시대성이다. 음보율이나 시적 의장 등의 여러 기술은 서정성을 풍요롭게 하는데 기여할 것이고 현실성이나 현장성은 시대성을 강화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신춘문예는 여기에 특히 참신성을 하나 더할 필요가 있다.

    이런 항목들로 구성된 체크리스트를 마음에 두고 작품을 읽어 나갔다. '시나브로 꽃잎 날다', '가을, 추사체로 읽다', '시나브로 압구정을 배회하다', '종로…해넘이 시간', '동지팥죽', '마당 깊은 집' 등을 먼저 가려놓고 반복해서 읽었다. 투고자들의 작품성향과 장단점을 발견한 뒤 의견을 나누기도 했다.

    어떤 기성 시인들의 기법이나 시어가 집중돼 있거나, 소재와 시각에 개성이 부족하거나, 음보율이 부드럽게 흐르지 못하거나, 서정성이 지나치게 빈약한 작품을 제외하니 맨 마지막 까지 남은 작품은 "동지팥죽"과 "마당 깊은 집"이었다. "동지팥죽"은 우리말에 대한 남다른 애정과 그 수련의 결실이 역력히 눈에 보이는 아름다운 작품이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시대의식의 울림이 지나치게 부족하다고 보았다. 물론 이 지적은 그의 응모작 전편에서 느낀 소감이다.

    고심을 거듭하다 결국 우리 두 심사위원은 "마당 깊은 집"을 선택했다. 이 시인의 응모작 전편에서 우리가 특징적으로 발견할 수 있었던 것은 다소 연소한 듯 하면서도 기성시인의 흔적이 별로 보이지 않는 점과 묘사 능력의 우수함, 그리고 시대의식이 작품 배면에 깔려있다는 점이었다. 풍요로운 서정성을 표현해낼 수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당선의 영광을 차지할 자격이 있다고 생각했다. 자신의 안목으로 자신만의 세계를 열어서 마침내 우리 시조시단의 돌올한 개성이 될 때까지 어떤 신고도 이겨낼 수 있는 열정과 분발을 당부하며 기꺼이 축하드린다.
  • 강대선

    강대선

    1971년 전남 나주 출생

    전남대 불어불문학과·조선대 국어교육과 졸업

    광주여상고 교사

    당선 소식을 받고 어린 시절 나주에서 바라본 노을을 떠올렸습니다. 저에게 시조는 노을처럼 붉기도 하고 그런데 붉음만은 아니어서 어두운 낯빛을 띠기도 하고, 때론 서운케 돌아눕기도 했으나 언제나 제 곁에 머물고 있는 고향이었습니다.

    먼저 연로하신 부모님께 당선 소식을 전해드릴 수 있어 정말 기쁩니다. 정말 운명처럼 시조가 저를 부르는 시간이었습니다. 당선 소식을 듣고 지난 동아일보 신춘문예 기사를 검색해 보았습니다. 2014년 당선자들이 "물에 떴으니 문학의 바다로 나아가야죠."라는 문구 앞에서 화사하게 웃고 있었습니다. 문득 '나 또한 이제 물에 떴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어디로 가야 할지 어디로 방향키를 잡아야 할지는 이제 순전히 당선자들의 몫일 것입니다. 하지만 문학이라는 배를 타고 함께 가는 이들이 있으니 그 길이 외롭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이제 저 또한 항해를 시작하겠습니다. 새로운 출발선에 서게 해 주신 심사위원 선생님과 동아일보에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항상 용기를 북돋아주신 허형만 은사님과 앞으로 나아가게 해 주신 정윤천 교수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와 함께 한 지송시회, 시빚기반, 죽란시사회, 손오작가회, 국제PEN광주 회원 여러분께도 감사드립니다. 사랑하는 유은학원 제자들과 경진, 준원에게도 고마움을 전합니다.

    물이 끓기 위해서는 99도가 아니라 100도가 되어야 한다는 말을 마음에 품고 글을 썼습니다. 이 1도가 모든 것을 바꾸어 놓을 수 있다는 생각 때문이었습니다. 한 발을 더 내디뎠을 때 정상이 보이고 한 번 더 바라보았을 때 안 보이던 것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앞으로도 끓어오르는 1도의 열정을 품고 시조의 바다를 향해 노를 저어 가겠습니다.
  • 작품전문
  • 심사평
  • 당선소감